I'm Miara Sung, a Korean/American philosopher living in Amsterdam. I wash dishes for a living. I think about langauge, racial capitalism, and the divine.
Previously, I was a software engineer at Microsoft. I also did social currency research with a grant from Ethereum people. After that, I served as CTO of a Korean startup writing software to translate webnovels automatically.
At Microsoft, I was in the Windows Systems and Delivery (WSD) team as an intern, then in the Microsoft Search, Assistant and Intelligence (MSAI) team. In WSD, I worked on Windows internals, building a tool that computes disk drive metadata. I used dskmgr a lot and asked lots of questions about IOCTLs. I also wrote a letter to the Chief Diversity and Inclusion Officer which went somewhat viral in internal emails, the intern Slack channel, and Blind, mostly of comments from white people who were mad at me. In MSAI, I worked on autosuggest functions on Microsoft Office products, and later on building the assistant you could talk to in natural language to do things. This was in 2018-2020; the technology now seems ancient, and is obsolete, with the rise of LLMs, and my former team is now managing Copilot.
After Microsoft, I worked on blockchain research for a bit and briefly ran a consulting firm where I took payments in my own currency. As my own currency wasn't accepted by my landlord, I paid rent through an Independent Ethvestigator Program grant, sponsored by Vlad Zamfir. I mainly studied social currency, or the idea that people could simply print their own money and spawn their own economy. The idea led to the rise of SocialFi, but I wasn't very happy about the culture and I left blockchain for good.
Then I went through a period of, let's say, doing street performance art. In one such performance, I went to an ATM. The ATM next to mine was being used by a family. At my ATM, in deliberately large motions, I entered my PIN code multiple times. Then I walked away from the ATM, pretended to sneeze, and dropped my card. The next day, I found a few uses of my card at the grocery store, the gas station, and so on. I locked my card after about a week and a thousand dollars. After that, I donated all my money, around $200k, and took out $80k in credit card loans to donate to random people I met on Twitter, friends of friends, who were facing homelessness, needed money for a funeral, for college, and so on. I didn't pay rent and donated that money instead. I was homeless for some time, though not because I was evicted, before my mom brought me to Korea.
In Korea, I briefly thought of becoming a professional interpretor/translator. I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translating literature. I matriculated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for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master's program, but I dropped out immediately and worked on Toonyz, a webnovel platform powered by AI translation and AI generated media. I was practically forced at gunpoint to work here and while I'm somewhat proud of the AI translation algorithm I built, I was never a fan of the AI generated media thing. Working on Toonyz made me intimately familiar with LLMs, their limitations and strenghts, and I was left with a lasting impression that, with some engineering tweaks, their translation is freakishly good, enough to translate literature. I left Toonyz to come to Amsterdam, where I currently work as a cook.
I've lived in Seoul, Bloomington, IN, Allendale, NJ, Carrollton, GA, Berkeley, Seattle and New York. I was born in Seoul, went to kindergarten in Bloomington, went to elementary back in Seoul, middle school in Allendale, and high school in Georgia. Then I went to UC Berkeley, where I studied computer science and enough classes to construe a broadly philosophy-linguistics-anthropology-poetry major.
I've done poetry readings at Seattle Lit Crawl, Oakland EM Wolfman, New Orleans, and was invited to read at Hugo House. I'm a member of Kundiman PNW, though I'm not very active these days. My poetry has appeared on a number of magazines, and is forthcoming in Abolishing Capitalist Totality, a collection by Archive Books.
I also read and write on some philosophical issues, cultural theory, that kind of thing. At Berkeley, I founded Philosophy of Computation at Berkeley and taught a course on philosophy of computation. My most recent publication is Acceleration and Time, where I build on Fred Moten to advance a theory of the universal machine as an aesthetic of blackness. Recently I've begun to get involved with Mimbres School, taking classes and programming things for them. It's a thriving intellectual community orientated around the central problem of studying money as an empirical problem, in an anti-economics, anti-philosophy, anti-disciplinary way; join us!
A long time ago, I made the indie game 6180 the moon with some friends.
암스테르담에 살고 있는 한국인/미국인 철학자 성민아입니다. 식당일로 밥 벌어먹고 삽니다. 언어, 인종자본주의, 그리고 신성함에 대해 생각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자로 일한 경력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에서 후원받으며 social currency 연구를 했고, 한국 스타트업에서 CTO로써 웹소설을 자동으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서울, 블루밍턴, 캐롤턴, 버클리, 시애틀, 뉴욕에 살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Windows Systems and Delivery (WSD) 팀에서 인턴으로 있었고, Microsoft Search, Assistant, and Intelligence (MSAI) 팀에서 일했습니다. WSD에서는 윈도우 내부 시스템에 관련된 일을 하며, 디스크 드라이브 메타데이터를 계산하는 툴을 만들었습니다. dskmgr을 많이 사용했고 IOCTL에 대한 질문을 많이 했습니다. 또 다양성과 포용성 최고책임자 (Chief Diversity and Inclusion Officer, 진짜 있는 직무입니다)에게 편지를 썼는데, 내부 이메일, 인턴 슬랙 채널, 그리고 블라인드에서 조금 바이럴하게 터졌습니다. 주로 저를 욕하는 백인들로요. MSAI에서는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의 자동완성 기능을 개발했고, 자연어로 대화할 수 있는 어시스턴트를 개발하는 일을 했습니다. 2018-2020년이었습니다. 이 기술은 LLM의 도래와 함께 옛 이야기가 되었고, 제 팀은 이제 Copilot을 담당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나온 후 블록체인 연구를 하며, 제가 직접 발행한 화폐로만 수당을 받는 컨설팅 회사를 차렸습니다. 하지만 집주인은 직접 발행한 화폐로 월세를 받지 않았고, Independent Ethvestigator Program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Vlad Zamfir에게 후원금을 받으며 살았습니다. 주로 소셜 화폐를 연구했는데, 소셜 화폐란 모두가 자신만의 통화를 발행할 수 있고 스스로의 경제를 만들 수 있게 하자는 아이디어였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소셜파이 (SocialFi)로 이어졌지만, 저는 그 문화가 마음에 들지 않았고 블록체인을 영구히 떠났습니다.
그 이후로는, 말하자면, 오랫동안 길거리에서 여러 차례의 행위예술을 했습니다. 한 번은 ATM을 쓰러 갔습니다. 제 ATM 옆에는 한 가족이 ATM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제 ATM에서 저는 일부러 과장된 움직임으로 핀코드를 여러번 눌렀습니다. 그리고는 ATM을 떠나며 재치기 하는 척 하고 카드를 떨어뜨렸습니다. 다음 날, 카드가 마트, 주유소 등에서 사용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1주일, 1천달러 후 카드를 잠궜습니다. 그리고는 노숙을 하게 된, 장례식 치를 돈이 없던, 대학 등록금이 모자르던 트위터 사람들과 친구의 친구들에게 전재산 (20만달러 정도)을 기부하고, 신용카드로 8만달러 정도를 기부했습니다. 월세도 내지 않고 그 돈을 기부했습니다. 집에서 쫓겨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이유로 잠시 노숙자가 되었고, 어머니가 한국에서 데리러 와 한국에 갔습니다.
한국에서는 정식 통역사/번역가가 될까 생각하며 한국외대 통번역 석사 과정에 입학했습니다. 하지만 바로 중퇴하고 투니즈라는 웹소설 플랫폼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AI 번역과 AI 미디어 생성 기능이 탑재된 플랫폼이었습니다. 거의 반강제로 거기서 일했고, AI 번역 알고리즘을 개발한 건 꽤나 자랑스럽지만, AI 미디어 생성은 제 취향이 아니었습니다. 투니즈를 만들며 LLM과 아주 친해졌는데, LLM의 취약성과 강점을 알게 되었고, 조금의 엔지니어링만 하면 번역을 기가 막히게 잘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소설까지 번역할 수 있을 만큼. 암스테르담에 오며 투니즈를 그만두었고, 여기서 저는 현재 요리사로 일합니다.
서울, 인디애나 블루밍턴, 뉴저지 알랜데일, 조지아 캐롤턴, 버클리, 시애틀, 뉴욕시에 살았습니다. 서울에서 태어났고, 유치원을 인디애나에서, 초등학교를 서울에서, 중학교를 뉴저지에서, 그리고 고등학교를 조지아에서 나왔습니다. 그리고 UC 버클리에서 전산학을 전공하고 철학-언어학-인류학-시 수업을 전공 하나 만들만큼 들었습니다.
시애틀 Lit Crawl, 오클랜드 EM Wolfman, 뉴올리언스에서 시를 읽었고 휴고 하우스 낭송회에 초대받았습니다. Kundiman PNW의 회원으로 있습니다 (요즘은 별로 활동 안합니다). 여러 매거진에 시를 출판했고, Archive Books의 책 Abolishing Capitalist Totality (자본주의 전체성을 폐지하라)에 시가 실릴 예정입니다.
철학, 문화 이론, 이런것도 읽고 씁니다. 버클리에 있을때는 버클리 전산 철학 모임을 창립했고, 전산 철학에 대한 수업을 가르쳤습니다. 가장 최근에 출판한 글은 Acceleration and Time (가속과 시간)으로, 프레드 모튼의 이론을 토대로 범용 (튜링) 기계를 흑(인)성의 미학으로 이해하는 이론을 시도했습니다. 최근 들어 Mimbres School 에서 수학하며 프로그래밍도 해 주고 있습니다. 돈을 실증적 문제로 연구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으며, 반-경제학적, 반-철학적, 반-과목적 (anti-disciplinary)으로 연구하는 활발한 학구적 공동체입니다. 가입하세요!
오래 전, 친구들과 인디게임 6180 the moon을 만들었습니다.